본문 바로가기
육아/육아정보

일본뇌염 예방접종 생백신과 사백신의 차이

by Hi~:D 2022. 11. 2.

 

 

 이번에 둘째가 영유아검진 하면서 일본뇌염 사백신4차를 맞고 왔어요. 3차와 4차사이에 예방접종시기가 되면 문자가 와서 잊지 않고 맞출 수 있어서 좋아요. 예방접종을 하면서 문득 예전에 열심히 찾아보고 맞혔던 기억이 나서 생백신과 사백신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 봤어요. 

 

일본뇌염이란?

 인수공통감염병으로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되어 뇌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. 

 

일본뇌염의 증상 및 치료

 감염자의 약 250명 중 1명에서 임상증상을 나타내며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이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으로 이행되기도 하고 드물게 뇌염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. 뇌염으로 진행된 경우 약 30%의 치명을 보입니다.

 일본뇌염의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호흡장애, 순환장애, 세균감염 등에 대해서는 보존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.

 

일본뇌염 -예방접종(불활성화 백신/약독화 생백신)

1)불활성화 백신(사백신)

-죽은 바이러스 활용, 인체 내 증식×

-접종대상 및 접종시기

기초접종 : 생후12~23개월에서 1개월간격으로 2회접종

추가접종 : 생후24~35개월(기초 1차 접종 1년후), 만6세, 만12세에 각각 1회 접종

-종류 및 가격

녹십자(무료), 보령(무료)

2)약독화 생백신(생백신)

-살아있는 바이러스 활용, 인체 내 증식O

-접종대상 및 접종시기

기초접종 : 생후 12~23개월에 1회접종하고 1차 접종 12개월뒤 2차 접종

-종류 및 가격

씨디.제박스(중국, 무료), 이모젭(프랑스, 6~8만원)

 

일본뇌염접종후 이상반응

일본뇌염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은은 실제로 드뭅니다.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부위의 발적, 통증, 주사부위 부어오름 및 발열, 발진이며 아주 드물게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생길 수 있습니다. 

 

저는 두 아이 모두 사백신을 맞췄어요. 총 5번 맞혀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오랬동안 사용해 왔기 때문에 고민 끝에 사백신으로 맞췄어요. 접종을 하면서 이상반응은 없었답니다^^

 

 

728x90

댓글